전파법

전파법 다음은 전파법과 전파법 시행령에서 아마추어 무선과 관련되어 있거나 시험에 나왔던 적이 있는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색깔이 다른 것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2025년을 10월을 기준 으로 작성했습니다.  목적 전파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이용 및 관리 전파이용과 전파에 관한 기술의 개발을 촉진 전파 관련 분야의 진흥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 함을 목적 용어 전파 : 인공적인 유도(誘導) 없이 공간에 퍼져 나가는 전자파로서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정한 범위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 주파수분배 : 특정한 주파수의 용도 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할당 : 특정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 를 특정인에게 주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 지정 : 허가나 신고로 개설하는 무선국에서 이용할 특정한 주파수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 사용 승인 : 안보·외교적 목적 또는 국제적·국가적 행사 등을 위하여 특정한 주파수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회수 : 주파수할당, 주파수지정 또는 주파수 사용승인의 전부나 일부를 철회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재배치 : 주파수회수를 하고 이를 대체하여 주파수할당, 주파수지정 또는 주파수 사용승인을 하는 것을 말한다.  주파수 공동사용 : 둘 이상의 주파수 이용자가 동일한 범위의 주파수를 상호 배제하지 아니하고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무선설비 :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말한다.  무선통신 : 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기호·신호·문언·영상·음향 등의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 것을 말한다. 무선국(無線局) : 무선설비 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 의 총체를 말한다. 다만, 방송수신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제외한다. 무선종사자 : 무선설비를 조작 하거나 설치공사 를 하는 사람으로서 제70조제2항에 따라 기술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을 말한다.  시설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으로부터 무...

수신기의 이해

이미지
수신기의 이해 수신기의 요구조건 미약한 신호도 수신할 수 있도록 감도가 좋을 것 선택도가 양호할 것 충실도가 양호할 것 잡음이 적을 것 안정도가 양호할 것 페이딩 현상에 대한 대책이 있을 것 수신기의 구조에 따른 차이 스트레이트 수신기 가장 단순한 수신기 형태로, 안테나로 신호를 받아 복조하고 스피커로 출력하는 형태.  스트레이트 수신기의 특징 구조가 간단 내부잡음이 적고 충실도가 높음 고주파 증폭기를 추가하면 생기는 장점 : 감도가 높아짐 선택도가 높아짐 신호대 잡음비(S/N)가 높아짐 검파(복조)나 조정불량에 따른 발진성분이 안테나를 통해 역방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 따로 이야기는 없지만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 생각됩니다. 요즘 대세는 아래의 것!  슈퍼 헤테로다인(Super heterodyne) 수신기 안테나로 수신한 전파와 국부발진기에 의한 고주파신호를 혼합해(Mix), 두 개의 고주파의 차를 중간주파수(IF)로 만들어 검파(복조)하는 방식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특징 감도가 높다 선택도가 높다  영상혼신(TVI)을 받기 쉬움 회로가 복잡하고 비트 방해를 받을 수 있음 고주파 증폭기를 추가하면 생기는 장점 : 감도가 높아짐 선택도가 높아짐 신호대 잡음비(S/N)이 높아짐 영상주파수에 의한 혼신이 줄어듬 국부발진기의 발진성분이 안테나로 역방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SSB 수신기 위 그림은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방식을 사용하는 SSB 수신기의 모식도임. SSB 수신기의 특징 장치가 복잡함 잡음이 적음 DSB보다 대역폭이 1/2로 적음 국부발진기의 안정도가 높아야 함 SSB Clarifier(스피치 클래러파이어, 또는 클래러파이어)와 AFC(주파수자동제어)회로 등이 필요함 AM 검파(복조) 2극관(또는 다이오드) 검파 : 2극관의 E g -I p 특성곡선의 직선부를 이용 재생 검파 : 안정도가 나쁘고 감도 및 선택도가 높음. 음질이 나쁘며 조정이 불량하면 발진(self-reso...

FM 송신기의 구조와 원리

이미지
FM송신기의 구조와 원리 FM송신기가 AM송신기와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변조방식이 " 주파수 변조 "라는 것입니다.  (AM은 "진폭변조"였지요)  FM송신기의 일반적 구조 FM변조회로 (직접주파수 변조방식) 일반적으로 LC회로나 가변리액턴스부를 장치해 리액턴스 변동을 이용한다.  장점 주파수체배기 단수가 적게 든다 (체배기를 많이 사용할 필요 없음) 체배기의 수가 줄어들어 스퓨리어스 방사가 줄어듬  회로구성이 비교적 간단 단점 LC 발진기를 이용하는 자력발진방식이기 때문에 반송파주파수(f c )의 안정도가 나쁘다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자동주파수제어회로(AFC Circuit)가 필요함 FM변조회로 (간접주파수 변조방식) 전치보상회로가 필요함 이동용등에서 주로 이용함 FM 통신방식의 특징 장점 수신기의 신호대 잡음비(S/N)이 높아 양호한 통신이 가능하다 수신전파의 진폭이 변해도 수신기의 출력은 변하지 않음  찌그러짐이 적은 변조 및 복조가 가능해 충실도가 높다 같은 주파수대역에 방해파(원치않는 주파수)가 있어도, 희망파(듣고자 하는 주파수)가 방해파보다 아주 약간만 강하면 방해파를 억압하므로 통신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변조에 필요한 전력이 AM (DSB)보다 적다  단점 점유주파수대폭이 넓다 장치가 다소 복잡하다 신호파의 강도가 특정 수신입력 이하로 떨어지면 신호대 잡음비(S/N)가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AM (DSB)보다 통신가능 거리가 짧아진다 기타 변조회로가 AM과는 다르다 주파수 변조는 소전력단에서 한다 피변조파의 증폭은 진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C급 증폭을 할 수 있다 (가격이 싸지지 않을까)  주로 VHF 주파수 그 이상의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한다 주파수체배기의 단수가 많이 필요하다  (직접주파수변조 방식에서는 체배기가 덜 들어간다고 했지만, 그래도 체배기 자체는 AM송신기에 비해  많이 필요하다는 뜻 같음) IDC회로(순시편이제어회로, Instantaneo...

AM 송신기의 구조와 원리

이미지
AM 송신기란 AM 송신기는 DSB 송신기를 주로 말하며 음성 등의 신호파로 진폭을 변조한 후, 반송파를 중심으로 양측에 생긴 측파대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DSB(AM) 송신기의 구성과 동작방식 수정발진기 발진기에서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기키 위해 사용함. 10㎒ 이상의 발진은 매우 어려움 완충증폭기 A급 증폭기로 발진기가 부하의 영향으로 발진주파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주파수체배기 수정발진기의 발생 주파수를 높이려면 수정을 최대한 얇게 제작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한계가 있음.  주파수체배기는 입력 주파수를 정수배(x1, x2, x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증폭기와 전력증폭기 사이에 위치함 전력증폭기 주파수체배기를 거친 주파수를 원하는 공중선 전력까지 증폭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여러개의 전력증폭기를 배치해 원하는 전력까지 증폭한다  다음의 조건이 반드시 필요함 스퓨리어스 발사가 적을 것 전력 효율이 좋을 것 C급으로 동작 스퓨리어스 발사를 억제하기 위해 동조회로의 Q를 높일 것 차폐(Shield)를 완전히 할 것  DSB 변조 DSB의 변조(주파수에 소리나 신호를 담는 것)는 위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짐.  반송파(carrier frequency)와 신호파(signal frequency)를 변조회로에 넣어 피변조파를 생성하는 방식. 이때 DSB의 경우, 반송파를 중심으로 아래쪽과 위쪽에 각각 동일한 형태의 신호파가 생성됨. 이 결과 반송파 주파수 f c 에 대해 f c - f s 와 f c + f s 의 두개의 주파수 뭉치가 생기며, f c - f s 를 하측파대(LSB, Lower Signal Band), f c + f s 를 상측파대(USB, Upper Signal Band)라고 부른다. DSB의 변조도 변조도란 신호파(f s )가 반송파(f c )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나타내는 척도이며, M 으로 표기하며 백분율로 나타내면 변조율이라고 부른다.  이때 M = ...

모스 부호의 약어(Morse code abbreviation)

모스 부호의 약어 다음은 모스 부호의 약어입니다.  약어는 말 그대로 "어떤 내용을 줄여 쓰는 말"이라서 전치부호(Prosign)과 다릅니다.  전치부호가 아니기 때문에 생기는 가장 큰 차이는 :  전치부호처럼 한번에 붙여서 송신을 하지 않는다 (일반 글자처럼 송신한다)  노트에 표기할 때 글자의 위에 바(―) 표시를 하지 않는다   입니다. 약어는 기본적으로 비공식 용어이기 때문에 평소에 쓰는 것만 어느정도 익히셔도 큰 문제는 없고 수신문의 내용을 읽으며 유추해도 어느정도 해결이 됩니다.  자주 사용하고 시험에 나오는 것은 색으로 표시했습니다.  약어 의미 AA ~의 후 전부 AB ~의 앞 전부 ABT about ADR Address (주소) AGN again ANT antenna BCI Broadcast interference BCNU Be seeing you (또 봐요) BK break BN ~와 ~사이의 전부 BRGDS Best regards BTR better BUG semi-automatic key (반자동 키) B4 before C Copy. 확인함. 그렇습니다 (긍정의 의미) CFM confirm, I confirm 확인했습니다 CK check (서식있는 메시지에서 단어의 카운팅) CKT circuit (회로) CL 무선국을 종료합니다 CLD called / could CLG calling CNT can't CNX cancel / cancellation (취소) CONDX condition CORRN correction CQ 모든 무선국 호출 CU see you CUL see you later CUM come CW continuous wave DE from / this is DIFF difference DLVD delivered DN down DR dear DX distance EL element ELE element ES and FB fine business, very good FE...